어떻게 협업할까요?
•
QA팀은 제품팀과 별도로 존재하고 있기에, 다른 팀과의 협업 지점이 훨씬 많이 생겼습니다.
•
좋은 품질의 제품을 함께 만들어간다는 인식으로, 명확한 기준의 품질 지표와 검수 기술을 유지해나가고 있습니다.
•
Product 초기 기획 단계부터 테스트 계획 수립을 기반으로 인시던트를 도출합니다.
•
제품의 깊이있는 파악을 통해 신규 Product의 높은 완성도와 더 나은 유저 경험을 목적으로 QA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제품팀 (Product)
•
신규 Product의 높은 완성도와 더 나은 유저 경험을 목적으로, 초기 기획 단계부터, 사내 오픈, 대고객 오픈까지 모든 단계에서 제품을 깊이 있게 파악하고 품질에 관여하며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습니다.
◦
Product 초기 기획 단계 (킥오프)
▪
테스트 계획 수립을 기반으로 인시던트를 도출합니다.
▪
효율적인 테스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회의록을 제공합니다.
▪
테스트 시나리오, 테스트 케이스를 만듭니다.
◦
알파오픈 단계
▪
알파 타겟으로 명세 기반 테스트, 이슈레이징을 합니다.
◦
사내 오픈 단계 (선택)
▪
사내 오픈 단계는, Silo의 니즈에 따라 팀 내에서 소규모로 진행하기도 하고, 사내에 오픈하여 QA를 진행하기도 합니다.
▪
모수가 많아야할 경우나 이슈가 많을 경우에 사내 오픈 단계에서도 QA를 진행합니다.
◦
대고객 오픈 단계
▪
초기에 크리티컬한 이슈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만 확인합니다.
▪
대고객 오픈 단계에서 잘 되었다면, 이런 이터레이션(Iteration)을 계속 돌며, 다음 맥락의 제품 등에도 함께 참여합니다.
개발팀 (Android & iOS)
•
QA Master 와 그 주의 Release Master (Android & iOS팀)와 주로 협업하게 됩니다.
•
주 단위로 RC 빌드 배포부터 최종 배포까지의 사이클을 운영합니다.